한국평화협력연구원

손기웅원장 자료실

[손기웅의 통일문] "회의에서 만난 북측 단장의 은밀 제안 '금강산 영지버섯 사줄 수없나'" (최보식의 언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842회 작성일 22-10-24 18:57

본문

[손기웅의 통일문] "회의에서 만난 북측 단장의 은밀 제안 '금강산 영지버섯 사줄 수없나'" (최보식의 언론, 2022.10.24)

https://www.bosik.kr/news/articleView.html?idxno=8448


<사진> 영화 '공작'의 한 장면

수년 전 남북관계가 막힌 상황에서 북한과 제3국에서 회의를 진행한 일이 있다. 베트남 회의 시작 전에 북측 대표단장과 저녁을 같이했다. 안부를 묻고, 회의 진행 형식과 내용에 관해 얘기를 나누는 중 내내 초조하던 그가 마침내 속내를 밝혔다.

금강산 영지버섯을 선물로 가져왔다기에 감사의 마음으로 활짝 웃는 필자를 살피면서 묻는다,

“여분을 좀 더 가져왔는데 혹시 사줄 수 있는지요?”

회의와 상관이 없고, 그것도 단장의 간곡한 부탁에 적잖이 놀랐지만, 상황을 짐작하며 그가 무안하지 않도록 더 크게 웃으며, “와, 그 좋다는 금강산 영지를 언제 다시 맛보겠나 잘됐다, 고맙다”며 가격과 수령을 물었다. “1봉지 10달러, 양은 얼마든지 있다”는 답변에 그가 만족할 만큼 부탁했다.

벌떡 일어난 그는 “천천히 나중에 주어도 된다”는 만류를 뿌리치고 황망히 방으로 올라가서 영지버섯을 한가득 안고 내려왔다. 분명히 할당량이 주어졌을 것이고, 회의보다 그것이 우선이어야만 하는 북한의 현실을 가늠할 수 있었다. 그 전 중국에서는 회의 중 내내 체제 선전을 하고 아쉬운 소리를 일체 입 밖에 내지 않던 북한 단장이 헤어지기 전 둘만의 자리가 되자 이렇게 말했다. “우리 아무 것도 없습니다, 비싸고 거창한 것도 좋지만 남쪽에서 그냥 막 쓰는 검은 비닐봉지 그런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 다른 회의에서 북한 참석자들이 발표문을 가져오지 않았다. 예산 집행을 위해 근거가 없으면 사례비를 줄 수 없다고 하자 난감해하는 그들에게 호텔에 부탁하여 A4 용지를 사람당 3장씩 나누어주었다.

다음날 아침 앞뒤 빽빽하게 손으로 적은 발표문을 모든 북한 참석자가 제출했다. 감사하면서도, 외화 획득이 얼마나 절실한지 전해왔다.


이어진 강력한 대북 국제제재, 북한 경제가 하등 나아질 이유가 없는 지금까지 김정은 체제는 굴러가고 있다. 합법적으로는 거의 모든 돈줄이 막힌 상황에서 탄도탄을 날리고 아파트를 건설하는 등 김정은은 ‘신기의 마술’을 보여주고 있다. 어디서 돈이 나오나?

서해 해역에서 북한에 의해 사살·화형당한 우리 공무원 이대준씨 사망의 전모가 밝혀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공개·공식적으로 낙인찍은 ‘월북’이 아니라, ‘월북몰이’가 진실로 드러나고 있다. 국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국가, 그 국가를 당시 운영했던 문재인 정부, 그것도 최고 수뇌부가 작당해서 국민을 버렸다.

인간으로서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문 정부의 대북 사업·활동 전면에 걸쳐 의구심이 솟구친다.

문 정부 시절 이면에서 대북 사업이 활발히 논의되었고, 쌍방울이 자금줄이었다는 혐의가 불거지고,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등에 수사가 진행 중이다. 적지 않은 돈이 대북 제재 속에서도 전달되었다고도 한다.

자연 궁금해진다. 문 정부 시절 USB 메모리 외에 돈도 불법적으로 김정은에 전달된 것은 아닌지, 그렇다면 그 규모는 어떠한지, 문재인이 무엇을 얼마나 잘못했기에 왜 김정은이 그에게 그렇게 불같이 화를 내었는지, 문재인이 그럼에도 무엇을 어떻게 했기에 김정은이 잊지 않고 변함없이 존경한다고 말했는지‥.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경문협)은 2005년 북한 저작권 사무국과 협약을 맺고, 남쪽이 조선중앙TV 영상을 비롯한 북한 저작물을 사용할 때마다 저작권료를 거두어 북한에 지급했다. 남북 간 저작권 합의가 정부 간이 아니라 북한 당국과 남한 민간단체 간에 이루어진 것이 과연 타당한가? 우리 저작물에 대한 북한의 사용료 지급은 들어본 적이 없다. 여기에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개입했고, 지금도 그가 이사장이다.

북한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잇따라 승소했지만 배상금을 받지 못하는 납북자·국군포로 유가족 등을 위해 법원은 경문협이 북한에 줄 돈을 대신 지급하라고 추심 명령을 내렸다. 경문협은 이에 불복하고, 대북 제재로 북한에 지급하지 못하는 돈을 쌓아두고 있다.

김정은 체제 생존에 자칭 진보 정부·정치인이 숨통을 틔워준 것은 아닌지 짙은 의문이 인다. 그가 평화와 공동 번영의 길로 나선다면, 쌍수로 환영하고 도와줄 모든 우리 국민이다. 그러나 김정은이 폭력과 독재의 길을 고수하는 한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 동포인 북한 주민을 위해서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