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기웅의 통일문] "박근혜 전 대통령을 ‘아베 전 총리 장례식’ 정부 조문단에 꼭 포함시키길" (최보식의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729회 작성일 22-07-11 12:47본문
[손기웅의 통일문] "박근혜 전 대통령을 ‘아베 전 총리 장례식’ 정부 조문단에 꼭 포함시키길" (최보식의 언론, 2022.07.10)
https://www.bosik.kr/news/articleView.html?idxno=7661
“우는 아이의 울음을 가장 빨리 그치게 하는 방법이 무엇이겠는가?” 세계적 평화연구가인 교수님이 물었다. 멍하니 쳐다보는 학생이 태반이고 몇 명은 답한다, 사탕을 준다, 안고 흔들어준다, 웃기는 얼굴을 만들어 보인다‥.
“귀싸대기를 세게 한 방 날리는 것이다. 그러면 아이의 울음은 그칠 것이다. 그러나 잠시의 평화는 더 큰 울음을 잉태할 것이다. 폭력에 의한 순간적 평화는 더 깊고 넓고 긴 폭력으로 가는 축적기다. 폭력으로 평화를 이끌 수 없다.” 열변하시던 묵직한 교수님의 음성이 아직도 생생하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총격에 숨졌다. 그가 보여준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입장을 떠나, 폭력에 의해 희생되었다는 이유만으로도 애도의 마음이 전해져야 한다. 전쟁을 겪었고, 전쟁을 목도하고 있고, 전쟁의 위협에 놓인 우리는 어떠한 폭력도 단연코 배제하고 반대하고 투쟁해야 한다.
아베 총리의 서거가 폭력의 야만성을 비난할 뿐만 아니라 그에 저항하기를 결단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동일한 아픈 현대사를 가진 우리가 일본과 이를 위해 연대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면, 총리의 비명횡사(非命橫死)가 그나마 의미를 가지지 않을까 믿는다. 생전에 순탄하지 못했던 한·일 관계를 그의 사후에 개선하는 일에 한·일이 힘을 모아야 한다. ‘조문 정치’가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사진> 박근혜 전 대통령
아베 전 총리 장례식에 참가하는 한국 조문단에 박근혜 전 대통령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누구인가, 부모를 모두 총탄으로 잃은 가슴 아픈 개인사를 겪었다. 폭력에 의한 고통이 얼마나 크고 뼈저림을 누구보다 체험했기에 누구보다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박 전 대통령과 아베 전 총리는 한·일 간의 아킬레스건인 위안부 문제 해결에 머리를 맞대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2015년 12월 28일 협상안을 타결했던 인연이 있다. 문재인 정권이 해법을 내놓지도 못하면서 뒤집었지만, 향후 문제 해결은 동 협상을 중심으로 논의될 수밖에 없다.
전직 국가수반의 장례식에 전직 국가수반이 참여하여 조의를 표한다는 한·일 관계적 의미를 넘어 박 전 대통령의 공식적 행보는 국내 정치적으로도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의 화해를 상징할 수 있다. 어찌 되었건 전날의 악연을 떨치고,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아가려는 두 사람의 의지를 보여주고 전달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화해도 상징할 수 있다. 윤석열 정부의 핵심 인사들이 이명박 정부에서 활동했던 전력이 있다는 점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임무 부여는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졌다기보다 여전히 존재하는 거리감을 줄이는 통합의 출발이 될 수 있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문 정권 5년을 감내해야만 했던 근원이 두 파의 분열이었다. 이명박 정부 시절 행해진 박근혜 인맥의 공천 배제가 박근혜 정부 시절의 이명박 인맥 공천 배제로 이어지고, 결국 탄핵 국면을 자초했다는 사실은 부정될 수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조문 행보와 이어질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으로 ‘보수 대통합’이 아니라 ‘자유민주주의 대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윤 대통령의 대통령 출마 명분이 자유민주주의 재건이었다. 그만큼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가 문 정권에서 형해화(形骸化)되었기 때문이다. 자유와 민주주의가 무시되었기 때문에 그 가치를 다시 세우고 키우라는 국민적 요구가 그의 대통령 당선이었다.
박근혜, 이명박 두 대통령은 분명히 공(功)과 과(過)가 있다. 그러나 변하지 않는 진실은 두 사람 모두 투철한 자유민주주의자라는 사실이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역사에 기록될 수 있다. 문재인과는 다르다.
대한민국의 새롭고 위대한 재도약의 기반은 모든 자유민주주의자들의 연대와 통합이다. 정치인과 정당은 대한민국 헌법에 입각하여 자유민주주의를 따르는 정치인·정당과 그렇지 않은 정치인·정당으로 구분되어야 하고, 재정립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음을 국민 모두가 안다. 그러나 국회 제1 정당이자 직전 대한민국 5년을 황폐화시켰던 ‘더불어민주당 강령’ 전문에 ‘자유민주주의’는 물론이고 ‘자유’조차 찾을 수 없음을 아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를 알고 투표한 국민이 얼마나 될까? 문재인이 ‘자유’를 뺀 헌법 개정을 시도한 깊은 연원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에 분노하는 이유는 국민의 인권, 자유권을 문재인과 정권이 경시했기 때문이다. 탈북자를 강제 북송한 문재인과 정권에 법적 심판을 반드시 내려야 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윤석열 대통령은 작금의 국민의힘 당내 ‘자잘한 사태’에 눈길을 줄 여유가 없다. 대국적 견지에서 어떻게 한·일 관계를 끌고 갈 것인가, 대한민국의 위대한 새출발을 위해 국내적 동력을 어떻게 만들고 어디로 이끌어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조문이 계기가 될 수 있다. 자유민주주의 대통합이 시작되어야 한다.
https://www.bosik.kr/news/articleView.html?idxno=7661
“우는 아이의 울음을 가장 빨리 그치게 하는 방법이 무엇이겠는가?” 세계적 평화연구가인 교수님이 물었다. 멍하니 쳐다보는 학생이 태반이고 몇 명은 답한다, 사탕을 준다, 안고 흔들어준다, 웃기는 얼굴을 만들어 보인다‥.
“귀싸대기를 세게 한 방 날리는 것이다. 그러면 아이의 울음은 그칠 것이다. 그러나 잠시의 평화는 더 큰 울음을 잉태할 것이다. 폭력에 의한 순간적 평화는 더 깊고 넓고 긴 폭력으로 가는 축적기다. 폭력으로 평화를 이끌 수 없다.” 열변하시던 묵직한 교수님의 음성이 아직도 생생하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총격에 숨졌다. 그가 보여준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입장을 떠나, 폭력에 의해 희생되었다는 이유만으로도 애도의 마음이 전해져야 한다. 전쟁을 겪었고, 전쟁을 목도하고 있고, 전쟁의 위협에 놓인 우리는 어떠한 폭력도 단연코 배제하고 반대하고 투쟁해야 한다.
아베 총리의 서거가 폭력의 야만성을 비난할 뿐만 아니라 그에 저항하기를 결단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동일한 아픈 현대사를 가진 우리가 일본과 이를 위해 연대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면, 총리의 비명횡사(非命橫死)가 그나마 의미를 가지지 않을까 믿는다. 생전에 순탄하지 못했던 한·일 관계를 그의 사후에 개선하는 일에 한·일이 힘을 모아야 한다. ‘조문 정치’가 그 시작이 될 수 있다.
<사진> 박근혜 전 대통령
아베 전 총리 장례식에 참가하는 한국 조문단에 박근혜 전 대통령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누구인가, 부모를 모두 총탄으로 잃은 가슴 아픈 개인사를 겪었다. 폭력에 의한 고통이 얼마나 크고 뼈저림을 누구보다 체험했기에 누구보다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박 전 대통령과 아베 전 총리는 한·일 간의 아킬레스건인 위안부 문제 해결에 머리를 맞대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2015년 12월 28일 협상안을 타결했던 인연이 있다. 문재인 정권이 해법을 내놓지도 못하면서 뒤집었지만, 향후 문제 해결은 동 협상을 중심으로 논의될 수밖에 없다.
전직 국가수반의 장례식에 전직 국가수반이 참여하여 조의를 표한다는 한·일 관계적 의미를 넘어 박 전 대통령의 공식적 행보는 국내 정치적으로도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의 화해를 상징할 수 있다. 어찌 되었건 전날의 악연을 떨치고,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아가려는 두 사람의 의지를 보여주고 전달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화해도 상징할 수 있다. 윤석열 정부의 핵심 인사들이 이명박 정부에서 활동했던 전력이 있다는 점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임무 부여는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졌다기보다 여전히 존재하는 거리감을 줄이는 통합의 출발이 될 수 있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문 정권 5년을 감내해야만 했던 근원이 두 파의 분열이었다. 이명박 정부 시절 행해진 박근혜 인맥의 공천 배제가 박근혜 정부 시절의 이명박 인맥 공천 배제로 이어지고, 결국 탄핵 국면을 자초했다는 사실은 부정될 수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조문 행보와 이어질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으로 ‘보수 대통합’이 아니라 ‘자유민주주의 대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윤 대통령의 대통령 출마 명분이 자유민주주의 재건이었다. 그만큼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가 문 정권에서 형해화(形骸化)되었기 때문이다. 자유와 민주주의가 무시되었기 때문에 그 가치를 다시 세우고 키우라는 국민적 요구가 그의 대통령 당선이었다.
박근혜, 이명박 두 대통령은 분명히 공(功)과 과(過)가 있다. 그러나 변하지 않는 진실은 두 사람 모두 투철한 자유민주주의자라는 사실이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역사에 기록될 수 있다. 문재인과는 다르다.
대한민국의 새롭고 위대한 재도약의 기반은 모든 자유민주주의자들의 연대와 통합이다. 정치인과 정당은 대한민국 헌법에 입각하여 자유민주주의를 따르는 정치인·정당과 그렇지 않은 정치인·정당으로 구분되어야 하고, 재정립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음을 국민 모두가 안다. 그러나 국회 제1 정당이자 직전 대한민국 5년을 황폐화시켰던 ‘더불어민주당 강령’ 전문에 ‘자유민주주의’는 물론이고 ‘자유’조차 찾을 수 없음을 아는 국민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를 알고 투표한 국민이 얼마나 될까? 문재인이 ‘자유’를 뺀 헌법 개정을 시도한 깊은 연원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에 분노하는 이유는 국민의 인권, 자유권을 문재인과 정권이 경시했기 때문이다. 탈북자를 강제 북송한 문재인과 정권에 법적 심판을 반드시 내려야 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윤석열 대통령은 작금의 국민의힘 당내 ‘자잘한 사태’에 눈길을 줄 여유가 없다. 대국적 견지에서 어떻게 한·일 관계를 끌고 갈 것인가, 대한민국의 위대한 새출발을 위해 국내적 동력을 어떻게 만들고 어디로 이끌어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조문이 계기가 될 수 있다. 자유민주주의 대통합이 시작되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