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기웅의 통일문] "독일 통일은 우리의 모델이 아니라더니 이제 와서 칭찬을..." (최보식의 언론, 20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680회 작성일 21-11-04 15:00본문
[손기웅의 통일문] "독일 통일은 우리의 모델이 아니라더니 이제 와서 칭찬을..." (최보식의 언론, 2021.08.19)
https://www.bosik.kr/news/articleView.html?idxno=2241
76주년을 맞은 8월 15일, '통일염원비'를 세웠다. 광복일은 더 이상 감격과 기쁨이 아니라 부끄러운 날이다. 대한독립에 목숨을 바치고 피를 뿌렸던 선열의 뜻이 동강난 조국과 반쪽짜리 주권은 아니었다. 36년 질곡을 두 바퀴나 돌고도 4년을 더한 시간 동안 분단의 아픔은 뼈에 사무치고 처절하다.
통일된 조국을 선열의 제단에 보고하고, 분향하며 잔을 올리는 그날까지 부끄러움은 갈수록 깊어져야 한다. 반쪽의 광복이자 분단일인 이날, 통일을 기필코 이끌겠다는 다짐의 상징으로 파주 민통선 내 통일촌에 세운 통일염원비다.
<사진 1>
파주 통일촌 내 무궁화동산에 세운 통일염원비 ‘열려라 우리나라’ 사진=손기웅
오는 길에 대통령의 경축사 내용이 귀를 때렸다. 독일 모델, 한반도 모델... 급히 들여다본 전문(全文), 할 말을 잊었다. 마지막 8.15 경축사에 가졌던 마지막 기대, 진실과 솔직함을 찾을 수 없다.
“동독과 서독은 신의와 선의를 주고받으며 신뢰를 쌓았고, 보편주의, 다원주의, 공존공영을 추구하는 ‘독일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비록 통일에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지라도 남북이 공존하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통해 동북아시아 전체의 번영에 기여하는 ‘한반도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남북관계와 통일 관련 주요 발언이다. 뻔뻔하다. 독일 통일을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일방적으로 흡수하여 지구상에서 통째 사라지게 한 ‘흡수통일’로 규정하고, 우리의 통일 모델이 아니라던 문 정권이 이제 와서 칭찬하고 나섰다.
분단 시기에 서독이 동독과의 관계에서 동독 주민의 눈과 귀를 열어주고 그들의 인권과 삶을 개선시켰던 내용에 대해서는 입 다물고, 표피적 ‘공존’만 들어 문 정권 대북 정책을 정당화하려 한다. 아전인수(我田引水)다.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기치 아래 ‘한반도 운전자’를 자임하며 세운 ‘북핵 문제 해결 및 항구적 평화 정착’, ‘지속가능한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추진’은 모두 허공에 떴는데, 집권 말년인 이제 와서 ‘한반도 모델’을 꺼내 국민의 눈과 귀를 어지럽게 한다.
독일 모델이건 한반도 모델이건 미국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상수(常數)다. 통일의 그날까지 현실이다. 서독은 미국의 동의와 지지를 바탕으로 대 동독 정책을 펼쳤다. 미국의 세계 정책을 거스르지 않고 편승하면서 국가 이익을 챙기는 ‘현실적 실익정책(Realpolitik)’의 틀 속에서 동독과의 관계를 형성했다. 냉전 시기는 물론이고 긴장완화와 신냉전으로 이어지는 국제정세의 격변 가운데서도 서독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미국과 굳건한 동맹관계를 형성했다.
건국과 재군비, ‘마샬 플랜(Marshall Plan)’을 동력으로 하여 이룬 라인강의 기적, 서베를린 문제 해결, ‘동서독 기본조약’ 체결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확고한 지원에 기초하였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미국으로부터 통일에 대한 지지를 이끌 수 있었다.
문 정권 아래 한・미 관계 현주소는 백신 지원 수십만 명분이다. 평화 번영의 국정 과제 아래 수립된 국정 목표들은 한 발자국도 전진하지 못했다. 미국과 신뢰 구축에 실패한 문 정권의 당연한 귀결이다.
'미국 때문에 남북관계가 진전되지 않는다'는 넋두리는 애초 집권세력으로서 자격 미달을 자인하는 것이다. 북핵 문제, 남북 관계, 교류 협력의 고비고비에 필수적인 미국의 영향력을 알지 못하고 애써 눈감고, 동의와 지지를 이끌려 하지 않았고 이끌지도 못한, 준비되지 않은 ‘어쩌다 정권’이다.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까지 치켜세우며 전 세계를 무대로 ‘듀엣’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물러나자, '변죽만 울렸다'고 비난한 문 대통령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문 정권의 민낯을 진즉 알아차렸다.
임기 말년에 ‘한반도 모델’이라는 새로운 추상적이고 두리뭉실한 개념으로 국민을 현혹한다. 계획대로 된 것이 하나도 없는 현재의 한반도 상황을 ‘독일 모델’에 기초한 ‘한반도 모델’로 치장하여 자신의 업적으로 미화해야만 하는 문 대통령이 애처롭다.
https://www.bosik.kr/news/articleView.html?idxno=2241
76주년을 맞은 8월 15일, '통일염원비'를 세웠다. 광복일은 더 이상 감격과 기쁨이 아니라 부끄러운 날이다. 대한독립에 목숨을 바치고 피를 뿌렸던 선열의 뜻이 동강난 조국과 반쪽짜리 주권은 아니었다. 36년 질곡을 두 바퀴나 돌고도 4년을 더한 시간 동안 분단의 아픔은 뼈에 사무치고 처절하다.
통일된 조국을 선열의 제단에 보고하고, 분향하며 잔을 올리는 그날까지 부끄러움은 갈수록 깊어져야 한다. 반쪽의 광복이자 분단일인 이날, 통일을 기필코 이끌겠다는 다짐의 상징으로 파주 민통선 내 통일촌에 세운 통일염원비다.
<사진 1>
파주 통일촌 내 무궁화동산에 세운 통일염원비 ‘열려라 우리나라’ 사진=손기웅
오는 길에 대통령의 경축사 내용이 귀를 때렸다. 독일 모델, 한반도 모델... 급히 들여다본 전문(全文), 할 말을 잊었다. 마지막 8.15 경축사에 가졌던 마지막 기대, 진실과 솔직함을 찾을 수 없다.
“동독과 서독은 신의와 선의를 주고받으며 신뢰를 쌓았고, 보편주의, 다원주의, 공존공영을 추구하는 ‘독일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비록 통일에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릴지라도 남북이 공존하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통해 동북아시아 전체의 번영에 기여하는 ‘한반도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남북관계와 통일 관련 주요 발언이다. 뻔뻔하다. 독일 통일을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일방적으로 흡수하여 지구상에서 통째 사라지게 한 ‘흡수통일’로 규정하고, 우리의 통일 모델이 아니라던 문 정권이 이제 와서 칭찬하고 나섰다.
분단 시기에 서독이 동독과의 관계에서 동독 주민의 눈과 귀를 열어주고 그들의 인권과 삶을 개선시켰던 내용에 대해서는 입 다물고, 표피적 ‘공존’만 들어 문 정권 대북 정책을 정당화하려 한다. 아전인수(我田引水)다.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기치 아래 ‘한반도 운전자’를 자임하며 세운 ‘북핵 문제 해결 및 항구적 평화 정착’, ‘지속가능한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추진’은 모두 허공에 떴는데, 집권 말년인 이제 와서 ‘한반도 모델’을 꺼내 국민의 눈과 귀를 어지럽게 한다.
독일 모델이건 한반도 모델이건 미국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상수(常數)다. 통일의 그날까지 현실이다. 서독은 미국의 동의와 지지를 바탕으로 대 동독 정책을 펼쳤다. 미국의 세계 정책을 거스르지 않고 편승하면서 국가 이익을 챙기는 ‘현실적 실익정책(Realpolitik)’의 틀 속에서 동독과의 관계를 형성했다. 냉전 시기는 물론이고 긴장완화와 신냉전으로 이어지는 국제정세의 격변 가운데서도 서독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근간으로 미국과 굳건한 동맹관계를 형성했다.
건국과 재군비, ‘마샬 플랜(Marshall Plan)’을 동력으로 하여 이룬 라인강의 기적, 서베를린 문제 해결, ‘동서독 기본조약’ 체결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확고한 지원에 기초하였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 미국으로부터 통일에 대한 지지를 이끌 수 있었다.
문 정권 아래 한・미 관계 현주소는 백신 지원 수십만 명분이다. 평화 번영의 국정 과제 아래 수립된 국정 목표들은 한 발자국도 전진하지 못했다. 미국과 신뢰 구축에 실패한 문 정권의 당연한 귀결이다.
'미국 때문에 남북관계가 진전되지 않는다'는 넋두리는 애초 집권세력으로서 자격 미달을 자인하는 것이다. 북핵 문제, 남북 관계, 교류 협력의 고비고비에 필수적인 미국의 영향력을 알지 못하고 애써 눈감고, 동의와 지지를 이끌려 하지 않았고 이끌지도 못한, 준비되지 않은 ‘어쩌다 정권’이다.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까지 치켜세우며 전 세계를 무대로 ‘듀엣’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물러나자, '변죽만 울렸다'고 비난한 문 대통령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문 정권의 민낯을 진즉 알아차렸다.
임기 말년에 ‘한반도 모델’이라는 새로운 추상적이고 두리뭉실한 개념으로 국민을 현혹한다. 계획대로 된 것이 하나도 없는 현재의 한반도 상황을 ‘독일 모델’에 기초한 ‘한반도 모델’로 치장하여 자신의 업적으로 미화해야만 하는 문 대통령이 애처롭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